Symphony No.4 in E minor, Op.98 브람스 / 교향곡 제4번 Johannes Brahms, 1833∼1897 Kurt Sanderling, Cond / Berliner Sinfonie Orchester |
단조로 된 교향곡인지라 외부로 향한 외침보다는 50을 넘긴 북부독일 함부르크의 사나이 브람스의 내면으로 파고드는 그 깊은 고뇌와, 안으로 타오르는 그 처절한 내연(內燃)의 불꽃, 우수의 사나이 브람스. 그 브람스가 작곡한 교향곡 4번이 일상적인 스트레스까지 날려 보내주는 양질의 스트레스 해방구 역할 까지 대신해 주고 있다는 사실이 신기할 따름이다. 브람스의 교향곡 4번은 스트레스 치료용 음악으로는 최상급 의 보약인 것만 같다. [제4번]의 특징은 크게 나누어 2가지이다. 하나는 '인생의 가을'이라는 것을 절실히 느낀 브람스의 고독감과 체념이 강하게 표면에 나타나 있다는 점인데, 흔히 '한숨의 모티브'라고 불리어지고 있는 무엇인가를 절실히 호소하고 있는 것 같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두 번째로는 지금까지의 어떤 곡보다도 한층 고전적인 형식이나 기법에 중심을 두고 있는 점으로 그와 같은 특색은 파사칼리아라는 옛 형식으로 쓰여진 제4악장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작품 개요 ; 배경 깊은 '인생의 가을'의 고독감 이곡은 제 3번 교향곡을 작곡한지 얼마 후인 52세 때에 쓴 것인데 노년기에 이른 브람스의 심경의 깊이가 나타나 있다. 그의 다른 3개의 교향곡과는 달리 곡의 성격도 퍽이나 고립되어 있고 애수가 잠긴 듯한 느낌을 주는 작품이다. 그의 음악은 실제로 어느 작품에서나 찾아 볼 수 있듯이 그리 화려하지는 않다. 그러나 우리 인간의 영혼에 깊이 호소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이 제 4번 교향곡에는 제 1번 교향곡에서 볼 수 잇는 어둡고 비극적인 성격이라든가 제 2번 교향곡에서와 같은 밝고 목가적인 기쁨이 별로 없다. 또 제 3번 교향곡에서와 같이 힘차고 밝으며 웅대한 맛도 없다. 이 제 4번 교향곡은 어둡고 내성적이며 체념에 가까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작품이라 할 것이다. 당시 브람스가 읽은 그리스의 비극과 다우마의 어두운 이야기들에 깊은 감명을 받았을지 모른다고 평하는 사람도 있다. 이 제 4번 교향곡은 초기에는 일반에게는 물론 친구들에게 까지도 잘 이해되지 못하였으며 니이만과 같은 이는 이 교향곡을 비탄적인 것이라고까지 평했다.그러나 그 후로 이 제 4번 교향곡은 많이 연주되었으며 브람스가 죽기 25일 전에 한스 리히터의 지휘로 연주하여 크게 호평을 받았다고 한다. 작품 구성 제1악장 알레그로 논 트롭포 e단조 2/2박자 소나타 형식. 서주부 없이 길고 느릿한 제1테마가 현악기로 시작되는데 목관 자유롭게 교대하면서 전개되어 나간다. 제2주제는 서사적이면서도 로맨틱하며 발전부는 부드러운 멜로디로 전개되면서 즐겁게 또는 극적인 클라이맥스에 이르게 된다. 재현부는 탱고풍의 리듬을 거쳐 선율적으로 흘러가며, 코다는 힘차고, 웅장하다. 제2악장 안단테 모데라토 E장조 6/8박자 소나타 형식. 아름다운 꿈을 보는 것 같은 황홀한 세계로 이끌어 가는데 로맨틱한 애수는 브라암스의 궁극적인 표현을 이루고 있다. 옛날 프리지아 교회조를 생각케 하는 제1테마에 대해 첼로로 연주하는 극히 서정적인 면을 보인다. 제3악장 알레그로 지오코스 C장조 2/4박자 론도 형식. 익살스런 성격을 띠고 있으며, 빠르면서도 즐거운 기분으로 연주하는 이 악장은 약동하는 힘과 긴장감이 감도는 듯한 느낌을 준다. 제4악장 알레그로 에네르지르코 에 팟사오나토 e단조 3/4박자 팟사칼리아 형식. 장엄하고 웅대한 느낌이 드는 일종의 변주곡으로서 고전 무곡의 형식이다. 처음에는 트롬본을 사용했으며 거기에 목관과 혼이 첨가되는데 이같이 치밀한 대위법적 처리는 브라암스 음악가로서의 한 모습을 보여 준다. |
(자료출처 : 참마음 참이웃)
'음악이야기-클래식-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암스 헝가리무곡 제 5번 (0) | 2010.02.22 |
---|---|
브람스 교향곡 1번 (0) | 2010.02.22 |
클레식 음악모음 슈베르트 편 (0) | 2010.02.20 |
클레식 음악모음 요한스트라우스2세 편 (0) | 2010.02.20 |
클레식 음악모음 차이코프스키 편 (0) | 2010.02.20 |